4대보험 계산기, 2021년 4대 보험료율 계산
월급 명세서를 자세히 확인하시나요?
월급을 받게 되면 4대보험으로 상당한 금액이 공제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연봉은 인상되었는데 생각보다 적은 월급에 당황한 적이 있다면, 바로 4대보험 때문일 텐데요.
4대보험은 법적 효력으로 강제성을 가지고 있어 월급에서 자동으로 공제되게 됩니다.
법적 효력이 있기 때문에 당연히 그 해의 보험료율에 맞게 공제되겠지만, 가끔 어떤 근거로 이런 금액이 공제되었는지 궁금한데요.
오늘은 회원가입 등의 절차 없이 4대보험 계산기와 4대보험 계산 시 적용되는 4대보험료율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4대보험 계산기, 2021년 4대보험료율 계산
4대보험 항목
국민연금보험
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소득 활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국민연금보험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공적 연금입니다.
소득 활동 중 납부한 보험료를 소득 활동이 중단될 때 본인이나 유족 등에게 지급하여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적 연금제도입니다.
매년 4대보험료율이 변경되는데, 국민연금은 2020년과 동일한 9%입니다.
계산 방법은 기준소득월액 * 9%로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4.5%씩 부담합니다.
건강보험
건강보험은 질병, 부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부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회보장제도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 관리해 질병, 부상 등으로 국민에게 필요할 때 보험급여를 제공해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보험입니다.
건강보험은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가 있으며,
4대보험 중 유일하게 2021년 보험료율이 2.89% 인상되었습니다.
계산 방법은,
건강보험료, 보수월액 * 6.67%이며,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3.43% 부담합니다.
장기요양보험료, 건강보험료 * 10.25%로 사업주와 근로자가 50%씩 부담합니다.
고용보험
4대보험 중 고용보험은 특히 코로나로 인해 힘들었던 작년 많은 국민이 받은 4대보험 중 하나일 것 같습니다.
소득 활동이 있을 때 공제하고 실직한 후 생활 안정을 위해 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사업과 재취업 촉진과 실업 예방을 위한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보험입니다.
고용보험료율은 2020년과 동일합니다.
실업급여사업 계산 방법은 보수월액 * 1.6%로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0.8%씩 부담합니다.
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은 근로자가 아닌 사업주가 부담하는 것으로 기업 규모별로 0.25%~0.85%까지 차등 보험료율이 적용됩니다.
산재보험
4대보험 중 산재보험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근로자의 보호를 위해 도입된 사회보험으로 산업재해 근로자와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보험입니다.
국가가 사업주로부터 보험료를 징수하여 산업재해 근로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제도입니다.
계산 방법은 월 평균 보수액 * 보험료율 / 1000이며,
산재보험은 다른 4대보험처럼 공통된 요율이 아닌, 아래처럼 사업 종류별로 보험료율이 각기 달리 적용됩니다.
4대보험 계산기
4대보험 계산기를 지원하는 사이트는 여러 곳이 있는데 그 중 국민연금공단에서 지원하는 4대보험 계산기를 알아보려고 합니다.
1.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 포스팅 하단에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.
2. 홈페이지 메인 화면 중 두번째, 자주찾는 민원서비스의 4대보험 간단계산을 클릭합니다.
3. 4대보험 계산기가 팝업창으로 뜨며 국민연금, 고용보험, 건강보험, 산재보험을 각각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.
먼저, 연금보험료 계산은 4대보험 중 국민연금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.
월소득액이 3백만원일 때 9%의 요율이 적용되어 사업주와 근로자 각각 135,000원이 공제됩니다.
4. 고용보험료 계산은 사업장 규모에 따라 요율이 달라지게 되는데, 소득일 3백만원에 근로자 150인 미만의 경우 실업급여 사업으로 소득월액의 1.6%가 적용되고, 사업주는 고용안정/직업안정개발사업으로 0.25%가 추가 적용됩니다.
5. 건강보험은 소득액 월 3백만원일 때 건강보험료 6.86%, 장기요양보험 11.52%가 적용되어 사업주와 근로자 각각 114,750원씩 납부합니다.
6. 산재보험은 근로복지공단 사이트의 산재보험 계산기로 바로 이동합니다.
7. 보험료율찾기를 클릭해 해당 업종을 선택하고 임금채권부담금비율과 석면피해구제금분담금 해당여부를 선택 후 월평균보수총액을 입력하면 산재보험료가 계산됩니다.
4대보험 계산기, 2021년 4대 보험료율 계산을 알아보았습니다.
법적 효력을 가진 4대보험이기 때문에 보험료 계산에 문제는 없겠지만, 내 월급에서 얼만큼이 4대보험으로 몇 %의 요율로 공제되는지 한번쯤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'일상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금복권 실수령액 및 추첨시간 알아보기 (0) | 2021.03.11 |
---|---|
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변경사항 체크 (0) | 2021.01.14 |
카드포인트 통합조회 및 현금 전환 (0) | 2021.01.07 |
코로나 백신 종류, 코로나 백신 부작용 (0) | 2021.01.05 |
부가세 신고기간, 미납 가산세 알아보기 (0) | 2021.01.03 |
댓글